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3

[클로봇] 로봇 관련주, AI 로봇 S/W, 로봇 자율주행 로봇 섹터는 기술의 발전 방향과 일치하기 때문에 예전부터 관심을 갖고 있었지만, 실제로 매출과 이익이 찍히고 있는 산업은 아니라서 성장에 따라 천천히 시세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었다. 하지만 젠슨황의 발언으로 AI 반도체에서 AI 로봇으로 시장의 관심이 급격히 쏠리면서 로봇 섹터의 거의 모든 종목에서 동시에 큰 시세가 났다. 섹터를 이루는 다수의 종목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상승이 나오면 그 관심은 쉽게 죽지 않는다. 1차 상승 후 기간 및 가격 조정을 거친 뒤 2차 상승을 기대할 수 있는 자리라 생각한다. 하지만, 로봇 관련주들은 실적 없이 이슈만으로 움직였기 때문에 언제든 급락이 가능하고, 2차 상승 이 나온다면 실적이 찍히기까지 1년 이상 걸릴 것이기 때문에 따라잡기 보다는 놓아주어야 하는게 아닐까 싶다.. 2025. 1. 30.
[제약/바이오] 바이오 관련주 정리 (알테오젠, 리가켐바이오, 유한양행 등) ◇ 시황 및 전망25년에는 제약/바이오 섹터에 계속 관심을 가져보려 한다. 국내 지수는 반도체, 2차전지, 바이오 섹터가 주도한다고 봐도 무방하다. 반도체 섹터는 AI를 등에 업은 하이닉스는 좋은 흐름을 이어가고 있고, 반대로 삼성전자는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최근 중국의 급격한 AI 발전으로(Deepseek) 경쟁이 심화가 예상 된다. 특히, 엔비디아 중심의 AI 생태계가 흔들릴 가능성이 생겼다. 한편, 삼성전자는 장기간 하락으로 위로 매물대가 상당하기 때문에 상당기간 박스권을 그리며 매물을 소화하는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  2차전지는 전기차 캐즘의 영향을 아직 벗어나지 못해 업황이 좋지 못한데다, CATL을 필두로 중국 업체들의 기술 발전과 글로벌 점유율 향상은 국내 관련 기업들에게 악영향을 끼치고.. 2025. 1. 28.
[유니트론텍] 자율주행 관련주 작년 11월 트럼프 당선 이후 우주항공, 자율주행, 드론, 재건 등 트럼프 트레이드 관련주 중심으로 순환매가 돌고 있다.특정 섹터가 먼저 시세를 냈다가 쉬어가면 또 다른 섹터에서의 시세가 반복되고 있다.최근 트럼프의 화성 발언으로 우주항공 테마가 주목 받기 시작했지만, 또 머지 않아 현재 쉬고 있는 자율주행 쪽에 순환매가 돌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유니트론텍 (142210)◇ 요약- 본업: 반도체 유통사 (차량용 MCU, DRAM, NAND Flash 등)- 마이크론과의 파트너쉽으로 23년 반도체 불황에도 꾸준한 매출 성장 유지중- 반도체 필요 범주가 다양해지고, 차량용 반도체의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어 꾸준한 성장 기대- 그러나, 유통사 특유의 낮은 벨류에이션 및 리스크 존재- 자율주행 업체 토.. 2025. 1. 26.
[이노스페이스] 민간 우주 발사체, 우주항공산업, 우주관련주, 트럼프 관련주 - 트럼프 재선 확정으로 트럼프 지지자였던 일론머스크의 스페이스X에 우호적 환경조성 기대로 우주항공 테마가 형성.- 트럼프의 "화성에 성조기 꽂겠다" 발언으로 우주산업에 대한 관심 표명, 관련주들이 들썩이는 상황 ◇ 우주 산업 간단 요약- 기존 우주산업은 개발 비용, 안보 문제 등으로 주로 정부 주도로 이루어짐- 최근 민간 기업들의 발사체 시장 진출로 인한 새로운 우주 시대 진입- 재사용 발사 기술 발달등 기술혁신으로 발사 비용 저감에 성공하며 상업화 성공. - 글로벌 우주 산업 규모: 현재 3,000~4,000억 달러 추정(2022년) → 5,900억 달러 (2030년)- 23년 기준 총 2,938기의 위성 발사. 이 중 94.7%가 민간 제작으로 민간 기업 중심으로 발전 예상- 우주산업 벨류체인: 전.. 2025. 1. 22.
[루미르] 우주항공산업, 우주관련주, 트럼프 관련주 - 작년 11월 트럼프 재선이 확정되면서 트럼프 지지자였던 일론머스크의 사업분야인 스페이스X에 우호적인 환경조성이 기대되면서 우주항공 관련 테마가 형성되었다. 이제 본격적으로 트럼프 정부가 들어서면서 우주관련 정책들이 나오면서 관련 기업들의 움직임이 활발해 질 것으로 기대된다. ◇우주 산업 간단 요약- 기존 우주산업은 개발 비용, 안보 문제 등으로 주로 정부 주도로 이루어졌다.- 최근 민간 기업들의 발사체 시장 진출로 인한 새로운 우주 시대 진입대표 발사체 기업: SpaceX, Blue Origin, Rocket Lab - 재사용 발사 기술의 발달로 발사 비용 저감에 성공하며 상업화 성공. - 글로벌 우주 산업 규모: 현재 3,000~4,000억 달러 추정(2022년) → 5,900억 달러 (2030년).. 2025. 1. 21.
[바이넥스] CDMO 관련주, 제약/바이오, 생물보안법 수혜 반도체 산업에서 생산에 특화된 파운드리 산업과 유사한 포지션이 바이오에서는 CDMO 산업이다. 신약 개발 자체에 집중하는 업체들과는 다르게 위탁 생산 등 원료 물질을 기반으로한 의약품 생산을 주 업으로 삼는다.바이넥스 - 케미컬의약품 제조 및 판매, 바이오의약품 위탁 생산 및 개발 (CDMO) 사업영위- 중소형 CDMO- 24년 9월 기준 매출액 940.92억원바이오 의약품 위탁생산: 34.18%하일렌(점안액): 17.86%비스칸엔: 9.22%  ▶ 케미컬쪽 매출이 아직 더 많지만, 글로벌 고객사 확보 등을 통해 CDMO사업이 주가 될 듯.- 생산 관련국제 기준(cGMP) 부합 생산시설 3곳 (부산, 송도, 오송)부산: 케미컬 의약품 생산 (점안제, 정제, 산제, 캅셀제 등)송도: 원제, 완제 바이오의약.. 2025. 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