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기업공부

[에스티팜] CDMO 관련주, 제약/바이오, 생물보안법 수혜

by Mem.storage 2024. 11. 8.


금리 인하, 미국 바이오 보안법 수혜를 볼 수있는 바이오 관련 주식들이 24년 2, 3분기 동안 좋은 흐름을 보였다.

 

미 대선에서 트럼프가 당선되면서 '금리 인하 속도가 늦춰질 것이다' 라는 전망과 함께 미 10년물 국채 금리가 상승하면서 바이오 관련 주식들이 최근 상승폭을 반납하기 시작했는데, 금리 인하 속도가 늦어질 뿐 큰 방향성은 금리 인하임에는 변함이 없다고 생각한다. 또한, 트럼프의 중국 제재에 있어 미국 바이오 보안법 또한 핵심적인 사항이기 때문에 바이오 관련주들은 만약 이번에 조정이 온다면 주의깊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현재 국내 시장의 시총 상위 업종은 반도체, 2차 전지, 바이오로 구성되어 있는데, 반도체, 2차 전지는 추세적으로 하락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다시 상승하려면 위로 매물대가 없는 바이오 섹터가 25년 상반기에도 주도 섹터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어 보여서 바이오 관련주 중 아직 큰 시세가 나지 않은 CDMO 기업들을 하나씩 공부해보려 한다. 


에스티팜 

 

 - 주요 사업 내용
   · 신약 원료의약품 및 제네릭 원료의약품 판매 

   · 올리고핵산치료제가 주요 제품 

   

[매출 비중]

 

- 기술력

  에스티팜에 글로벌 바이오텍의 관심이 모이는 이유는 다이머(Dimer) 제조 후 올리고를 합성하는 고유 특허기술과 대량 생산 신기술을 바탕으로 경쟁사 대비 대량생산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에스티팜은 일반적인 모노머(Monomer) PA 대신 6개의 다이머 PA를 사용해 합성 순도를 11~13% 상승시켰다. 순도가 높은 만큼 정제 수율도 향상되고, 최종 공정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LPOS(Liquid Phase Oligonucleotide Synthesis)와 효소 합성기술(Ligation)을 결합해 대량생산에 유리한 공정 확립, 유전자 편집 치료제 3가지 핵심기술 보유, 제2올리고동 구축 등을 통해 글로벌 3위 안에 꼽히는 CDMO 생산 역량을 확보 했다.

 

 · 출처:  https://www.medipana.com/article/view.php?page=1&sch_menu=1&sch_cate=D&news_idx=329158

 

 

- 전망

  · 올리고핵산을 원료로 하는 RNA 치료제 시장 성장 중 (혈액암치료제, 심혈관질환, 고지혈증 등)

         2세대 의약품: 질병 자체를 표적으로 함 (키트루다, 휴미라 등)

         3세대 의약품: 유전물질과 결합하여 질병 발현 단백질 생성을 막는 RNA 치료제로 질병의 근원을 표적으로 함

         글로벌 제약사들의 RNA 치료제 관련 임상 활발히 진행중으로, 시장규모 전망치: 26년 22.4조, 30년 32.6조
         →  시장 전망 긍정적 

  · 최근 올리고핵산 공급 연속 수주하여 긍정적 흐름 (24년 하 신규 수주 3건 384억, 863억, 110억)

  · 제2 올리고동 완공 25.3월 (생산량 최대 3.2t → 7t), 미국 cGMP 획득

  · 에스티팜의 원료공급 상업화 품목이 늘어날수록 호재 → 관련 품목들 추적 필요

     · 24년 이후 FDA 승인 예상되는 품목들은 에스티팜이 원료공급 할 확률 높음

     · 심혈관 치료제 '올레자르센 ' 24.12.19 FDA 허가 기일

     · 골형성이상증후군 치료제 '라이텔로' 적응증 확대 시도 중 (재발·불응 골수섬유증 3상, 급성골수성백혈병 2상)

   

 

- 리스크

    · 전환사채 700억

    · 올리고핵산에 대한 의존도 높음

    · 자회사 적자 (임상시험위탁 사업)

 

※ 용어:

    □ RNA: 리보핵산

    □ 원료의약품: API,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

    □ 제네릭의약품:  처음 개발된 '원개발 의약품(오리지널 의약품)'과 동등하게 만들어진 의약품

    □ cGMP: 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 우수의약품품질관리기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