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기업공부

[퓨런티어] 자율주행 관련주

by Mem.storage 2025. 1. 16.

 
트럼프 2기 시대가 오면서 자율주행 규제 완화 기대로 자율주행 테마가 다시 한 번 들썩이고 있다.
에스오에스랩과 더불어 자율주행 테마로 주목받고 있는 퓨런티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미리 요약 

- 모바일 부문 대폭 축소, 전장용 Pure Player로 자율주행 테마 편승
- 전장용 카메라 모듈 장비 공급 국내 유일 상장사
- 주요 매출은 전장용 카메라 모듈 완성업체에 장비 공급 (최종 테슬라 향)
- 현재 전기차 캐즘으로 장비 부문 수주 잔고 최저 수준 (수익성 악화)
- 자율주행 고도화에 따른 카메라 탑재 수량 급증 기대 (장기 시장 전망 긍정적)
- 트럼프 2기 자율주행 규제 완화로 자율주행 시장 이른 개화 기대
- 높은 테슬라 의존도로 중국 전기차 시장 확대에 따른 리스크 존재
- 전기차 캐즘 지속으로 매출 회복 지연 리스크 존재
- 단기적으로 가시적 실적 개선은 어려워 보임 (흑자전환 정도 기대)
- 실적 기반이 아닌 순수 자율주행 테마 이슈로 최근 가격 상승
- 실적이 뒷받침 되지 않기 때문에 시장 하락시 하방 지지력 약할 수 있음


퓨런티어

 
- 자율주행차 센싱카메라 공정장비 전문기업
- 22년 자율주행 센싱카메라 공정장비에 특화된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 인정받아 코스닥 기술 특례 상장
 

  • 기술 개발 내역:
    • 2012년: 8메가픽셀급 고화소 이미지센서 검사장비 개발 및 LG이노텍 공급.
    • 2014년: 모바일 카메라용 AF VCM 고속검사기 개발, 삼성전기 공급.
    • 2017년: 듀얼 카메라용 Dual Align 장비 개발, 삼성전기 공급.
    • 2018년: 국내 최초 트리플 센싱카메라 제조라인 개발.
    • 2019년: 센싱카메라용 Intrinsic Calibration 장비 개발.
    • 2020년: 현대모비스와 Active Align 장비 공동 개발.
  • 국책 과제 선정:
    • 2022년과 2023년: 국가 전략기술형 사업 및 제조기반생산시스템 과제 선정.

 

 


주요 사업 영역

  1. 장비사업부 (매출 비중 69.6%):
    • 주로 ADAS 자율주행 센싱카메라와 관련된 공정 장비 생산
    • 테슬라 向 모듈 제조 회사에 제품 납품: 삼성전기, LG이노텍, 엠씨넥스, 프라이맥스 등
    • 주요 제품:
      • Active Align 장비: 카메라 화상품질 극대화를 위해 이미지센서와 렌즈를 정밀하게 정렬/접합
      • Dual Align 장비: 멀티카메라 간의 광축 정밀 정렬로 3D 심도 측정 및 인식 정밀도 극대화
      • EOL(End of Line) 장비: 카메라의 최종 품질 검사를 위한 고도화된 검사 공정
      • Intrinsic Calibration 장비: 카메라 내부 광학 특성(왜곡, 초점거리 등)을 추출 및 보정
  2. 부품사업부 (매출 비중 30.4%):
    • 자동화 장비용 핵심 부품 개발 및 공급
    • 매출의 90%이상은 모회사 하이비젼시스템(지분률 40.45%) 向으로 발생
    • 주요 제품:
      • 산업용 PC(자동화 장비 시스템 제어용)
      • LED 광원(카메라 검사용 조명)
      • FA 컴포넌트(자동화 장비 모션 제어 부품)

▶ 전체 매출 중 검사장비(EOL) 매출이 가장 크다.


산업 현황 - 전장용 카메라 모듈 및 조립/검사 장비 시장

- 국내 카메라 모듈 업체는 대부분 모바일용 사업을 영위하다 최근 모바일 산업 성숙기 진입에 따라 높은 수요가 기대되는 전장용 카메라 사업으로 사업 영역 다각화 중
- 국내 카메라 모듈업체:

  • 전장용: LG이노텍(테슬라 향), 삼성전기 (테슬라 향) , 엠씨넥스, 세코닉스
  • 모바일용: 파트론, 하이비전시스템, 나무가, 캠시스, 옵트론텍, 파워로직스 

-  전장용 카메라 모듈 시장 성장성

  • ADAS(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기능 탑재 차량 증가: 차량 주변 사물감지, 장애물 회피 및 최적 경로 데이터 제공
  • 유럽 2024년부터 모든 신차에 ADAS 장착 의무화.
  • 차량 1대당 카메라 모듈 탑재 수 증가
    • 2020년: 평균 2~3개.
    • 자율주행 레벨 2: 7~8개.
    • 자율주행 레벨 3: 12개 이상.
    • 자율주행 레벨 4 이상: 20개 이상.

- 카메라 모듈 vs. 자율주행 차량용 카메라 모듈

 
- 시장 전망

  • 2024년~2030년: 연평균 14.9% 성장.
  • 2024년 시장 규모: 1.6조 엔.
  • 2030년 시장 규모: 3.7조 엔.


투자포인트

- 장비사업부 매출 2019년 105억 →2023년 286억 연평균 28.5% 성장.
- 같은 기간 모바일용 88억 → 11억, 전장용 17억 → 275억
  ▶ 순수 전장용 장비 공급사로 변함
- EOL 검사장비 매출 성장성이 돋보임 (22년 35억 → 23년 144억; LG이노텍 맥시코공장 증설 영향 추정)
- 최종 수요처는 테슬라로 추정되며 전기차 캐즘 영향으로 고객사 투자지연으로 신규 장비 발주 부진

  • 전장용 장비 부문 수주잔고 23년말 129억 → 24년 3분기말 12억 으로 대폭감소

- 트럼프 2기 자율주행 규제완화 기대감으로 수요 증가 기대
- 결국 카메라 모듈 공급사(LG이노텍, 삼성전기 등) 매출 성장성에 의존하는 구조

 

- 25년 상반기 테슬라 Model2 출시, 26년 로보택시의 본격 양산 등으로 신규 장비 발주 수요 증가 예상
- 완성차 업체들의 자율주행 lv 고도화에 따른 카메라 모듈 탑재 수량 증가 기대


벨류에이션

- 현재 주가는 PBR 4.5배 수준. 동종 업계 평균 0.8 대비 현저히 높음
- 아래 이유로 고 벨류에이션 형성 중
  1. 전장용 카메라 모듈 공정장비 국내 유일 상장사
  2. 순수 전장용 장비 공급사 (카메라용 X)
  3. 자율 주행 규제 완화에 따른 테슬라향 매출 증가
 
 

리스크

- 중국 전기차 업체의 부상으로 테슬라 점유율 하락
- 전기차 캐즘 지속으로 매출 회복 지연 가능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