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기업공부

[이노스페이스] 민간 우주 발사체, 우주항공산업, 우주관련주, 트럼프 관련주

by Mem.storage 2025. 1. 22.


- 트럼프 재선 확정으로 트럼프 지지자였던 일론머스크의 스페이스X에 우호적 환경조성 기대로 우주항공 테마가 형성.

- 트럼프의 "화성에 성조기 꽂겠다" 발언으로 우주산업에 대한 관심 표명, 관련주들이 들썩이는 상황

 


◇ 우주 산업 간단 요약

- 기존 우주산업은 개발 비용, 안보 문제 등으로 주로 정부 주도로 이루어짐
- 최근 민간 기업들의 발사체 시장 진출로 인한 새로운 우주 시대 진입

- 재사용 발사 기술 발달등 기술혁신으로 발사 비용 저감에 성공하며 상업화 성공. 
- 글로벌 우주 산업 규모: 현재 3,000~4,000억 달러 추정(2022년) → 5,900억 달러 (2030년)
- 23년 기준 총 2,938기의 위성 발사. 이 중 94.7%가 민간 제작으로 민간 기업 중심으로 발전 예상
- 우주산업 벨류체인: 전체적인 규모는 다운스트림 시장이 높지만, 업스트림 시장은 높은 기술력, 비용으로 소수 기업 영위

  • 업스트림: 발사체, 위성 제조
  • 다운스트림: 위성서비스, 통신, 지상국, 네비게이션 위성 시스템

 

지난 포스팅에서는 업스트림 벨류체인에서 민간 위성 제조 업체인 루미르에 대해 포스팅했었다.

이번에는 업스트림 중 발사체 관련 민간 기업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https://knight1125.tistory.com/34

 

[루미르] 우주항공산업, 우주관련주, 트럼프 관련주

- 작년 11월 트럼프 재선이 확정되면서 트럼프 지지자 였던 일론머스의 사업분야인 스페이스X에 우호적인 환경조성이 기대되면서 우주항공 관련 테마가 형성되었다. 이제 본격적으로 트럼프 정

knight1125.tistory.com

 

이노스페이스 (462350)


◇ 개요 & 요약

- 민간 우주 발사체 스타트업으로 발사체 제작, 소형 위성 우주 궤도 운송 서비스 제공.

- 업스트림 부문은 고도의 기술력과 대규모 투자 필요로 진입 장벽 높음

- 발사체 사업 영위 기업

  • 글로벌: SpaceX, Blue Origin, Rocket Lab, Origin, Airbus
  • 국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공우주, 쎄트렉아이 

- 국내 민간 소형 발사체 기업은 이노스페이스가 유일

- 글로벌 소형 위성 수요 급증, 소형 발사체 공급 부족  공급자 우위의 소형 발사체 시장 전망

- 발사 Capa 26년 기준 60회/년 확보 예정

- 25.7월 상업 발사 예상. 성공시 추가 계약 확보, 실패시 신뢰도 하락 및 추가 개발 비용 등의 자금난 예상

 

소형 발사체 시장 전망

- 발사 서비스 상업화 성공기업 SpaceX(대형 발사체), RocketLab(소형 발사체) 두 곳 뿐임

  • SpaceX: 시장 점유율 88%, 재사용 로켓 기술로 발사 비용 크게 절감
  • RocketLab: 소형 발사체 일렉트론 로켓으로 상업화, 소형 발사체의 빠른 발사 주기 및 유연한 서비스 제공

- 최근 LEO, SSO 용 소형 위성 발사 수요 급증 (99% 이상 점유율)
  → RocketLab은 향후 1년 슬롯 가득찬 상황

  • 저궤도(LEO;200~2,000km), 태양동기궤도(SSO;600~800km): 비용 저렴, 통신 지연 적음. 활용도 높음.
  • 정지궤도(GEO; 36,000km): 1개 위성으로 지표 43% 커버가능. But, 무게 3,500kg, 비용 2.5억 달러

- 소형 발사체 시장 전망: 24년 18.5억 달러 → 30년 55억 달러 규모 예상

 

- 대형 발사체 특징:

  • 발사 성공률 높으나, 20~30개의 위성 모집 후 발사하여 대기 시간 길다.
  • 다수의 위성을 동시 발사하여 개별 위성이 원하는 특정 궤도에 안착 어려움
  • SpaceX kg당 발사 비용 2,720 달러
  • 위성에 별도의 추진체를 탑재하여 원하는 곳으로 위치시켜야 해서 위성 제작시 추가 비용 필요.

- 소형 발사체 특징:

  • 발사 성공률 낮음 및 위성 용량 제한 등의 한계 있으나, 1~5개 위성 발사로 대기 시간 짦음
  • 특정 궤도에 정확히 배치 가능 (맞춤형 발사 서비스 제공)
  • RocketLab kg당 발사 비용 25,000 달러
  • 민간 위성 제작 업체들이 선호

- 원하는 궤도에 원하는 시간에 위성 발사 가능한 소형 발사체 기업 수요 증가 기대.

- 이노스페이스가 25년 7월 발사 성공시 세계 3번째 상업 서비스 가능 민간 발사체 기업 등극

- 소형 위성 수요 급증, 소형 발사체 공급 부족공급자 우위의 소형 발사체 시장 전망

  : RocketLab은 슬롯이 꽉찬 상황 
  : 이노스페이스는 시험 발사 성공만으로 이미 수주 계약 체결 (잔고 약 200억원)

  : 상업 발사 성공시 추가 계약 체결 예상

 

 발사 Capa 

- 발사체 기업에 발사 Capa는 곧 매출로 직결됨

- 현재 브라질 알칸타라, 호주 아넘 발사장과 독점계약

- 26년 까지 UAE, 노르웨이, 대한민국(고흥) 발사장 추가 확보 예정

- 대륙별 5곳 발사장 확보하여 60회/1년 Capa 구축 예정

 

하이브리드 기술 기반의 가격 경쟁력 확보

- 고체연료와 액체연료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로켓 기술 자체 개발 (전세계 유일 기술)

  → 하이브리드 엔진 이점: 부품 수 절반, 추력조절 가능, 폭발위험 없음, 방폭 설비 비용 없음

  → 기존 발사체 대비 40% 이상 비용 절감, 안정성 확보, 엔진 제조 시간 감소

 

 

- 발사체 제작 비용 절감에 따른 발사 비용 경쟁력 우위 (kg당 발사비용)

  • SSO 궤도 발사 기준 Rocket Lab 37,500$/kg, 이노스페이스 28,000$/kg 로 30%이상 저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제로 재사용 발사체 기술 개발 중 (25년 개발 완료 목표)

 → 26년 이후 기술 적용 계획이며, 성공시 10회 기준 58.5% 비용 절감 및 제작 시간 단축 기대.

 

 실적 예상치

- 25년 상업발사 횟수 증가로 매출 성장 기대하나, 영업손실 116억 예상

- 26년 총 12회 발사계획하고 있으며 매출 1,000억, 영업이익률 20% 초반 달성 전망.

 

- 발사 서비스 계약 현황

 

- 발사 단가

 

 리스크

-  상업 발사 실패시 신뢰도 하락, 추가 개발 비용 발생, 발사 계획 지연, 자금난 및 수익 창출 지연 우려.

댓글